문화유산활용

[최순우 옛집] 2024 최순우 옛집 시민축제 – 기억 잇기

 

우리 곁의 문화유산을 시민들의 손길로 보존하는 ()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에서 설립 20주년을 맞아기억 잇기를 주제로 5 18일부터 29일까지최순우 옛집권진규 아틀리에에서 시민축제를 엽니다.

음악회, 강연, 답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은 재능기부와 자원봉사로 운영되며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올해는 공간과 문화를 영상으로 담는 정다운 다큐멘터리 감독의 강연, 나의 기억을 깊이 보고 이야기 나누는 워크숍, 우리 재단의 20년을 살피는 전시 등기억을 돌아보고, 새로운 추억을 만드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동네 전체가 박물관인 성북동 곳곳의 문화유산과, 문화인물의 자취를 찾아보는 답사와 시민문화유산 3호 권진규 아틀리에에서 열리는 프로그램도 시민축제에서 즐길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기억을 쌓고 이어 우리가 함께 지키는 시민문화유산에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주세요!

- 기간: 2024 5 18() ~ 5 29() / ~토요일, 10~17시 개방(1630분까지 입장)

- 장소: 최순우 옛집 [예약] | 권진규 아틀리에 [예약]

*모든 프로그램은 예약을 통해 진행됩니다.

(후원회원은 전화 예약 02-3675-3401)

 


 

[체험] <담담한 시선>

- 일시: 5 21(), 29() 11, 14, 15

- 장소: 최순우 옛집

- 기획: 강하라, 김하연, 명채민, 한여정(이화여대 교육대학원)

- 내용: 최순우 옛집 설명을 들으며 혜곡 최순우의 담담한 시선과 한국의 미를 발견해 보고, 제공되는 체험지에 식물 도장으로 꾸며봅니다. 최순우 옛집 기억을 남기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 참가비: 무료

 

 

[답사] <성북동의 기억을 찾아>

- 일시: 5 22, 29(), 10:00~11:30

- 장소: 10시 집결: 최순우 옛집조지훈집터 → [운우미술관] → 선잠단지와 [성북선잠박물관] → [간송미술관] → [성북근현대문학관] → [성북구립미술관] → 수연산방과 노시산방심우장북정마을과 서울성곽: 해산

코스에 포함된 [박물관]은 답사 후 자율 관람입니다. 간송미술관, 운우미술관은 온라인 예약, 그외 박물관은 개관 시간 중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https://cafe.naver.com/ntchfund/45354

- 소요시간: 1시간 30

- 해설사: 정미자

- 내용: 성북동의 문화유산과 근현대 시기 살았던 문화예술인의 자취가 남은 공간을 전문 문화해설사의 설명과 함께 답사합니다.

- 참가비: 일반 1만원, 후원회원 5천원

 
 

[체험] <느리게 그리고 고요히>

- 일시: 5 23() 11, 16

- 장소: 최순우 옛집

- 기획: 김지민, 김정현, 박제아(이화여대 교육대학원)

- 내용: 최순우 옛집을 여유 있게 즐기며, 곳곳을 눈과 마음에 담아 그 안에 담긴 한국의 아름다움을 찾아봅니다. 최순우 선생이 쓴 글귀와 체험용 엽서를 활용해 옛집 기억을 남겨주세요.

- 참가비: 무료

 
 

[음악회] 작은 음악회 - SKKUO(스꾸오)

*좌석 배치가 없는 자율 관람 음악회입니다. 예약 시 참고해 주세요.

- 일시: 5 25(), 11:00~11:20

- 장소: 최순우 옛집

- 내용: 성균관대 오케스트라 악장이었던 최순우 옛집 자원활동가의 재능기부로 시작된 작은 음악회입니다. 10여년이 넘도록 선후배 연주자들이 함께 연주하고 있습니다. 오래도록 멋진 연주를 할 수 있도록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연주자: 서세진, 신재환, 윤정훈, 이상윤, 허윤민 https://www.instagram.com/skkuo_orchestra?igsh

- 참가비: 무료

- 프로그램:

1. J.Pachelbel Kanon

2. T.Albinoni Sinfonia G major 1.3악장

3. Karl Jenkins Palladio for Strings

4. Mozart Eine Kleine Nachtmusok K. 525 1악장

 

 

[음악회] 작은 음악회 - 한음

*좌석 배치가 없는 자율 관람 음악회입니다. 예약 시 참고해 주세요.

- 일시: 5 25(), 15:00~15:40

- 장소: 최순우 옛집

- 내용: 자원활동가 인연으로 시작한 한성대 기타 동아리 '한음'입니다. 14년째 시민축제 작음 음악회에서 연주하고 있습니다. 활기찬 학생들이 모여 신나고 통통튀는 연주회를 엽니다!

- 연주자: 한성대 기타 동아리한음https://www.instagram.com/haneum_hsu/

- 참가비: 무료

 

 

[워크숍] <기억 상자> 워크숍

- 일시: 5 29(), 17:00~18:00

- 장소: 최순우 옛집

- 강사: 전미정

기억발전소(aka 메모리플랜트)를 창업해 12년 동안 기억, 이야기, 사진, 아카이브라는 주제를 오가며 일했다. 지금은 회사를 정리하고

운신의 폭을 가볍게 하여 일하고 있다. ‘작가 미정 A.N.Other’의 팀원이자 팀장을 맡고 있다.

- 내용: 다양한 감정과 기억이 담긴 나의 공간이나 물건에 대해 함께 이야기 하고 기록해봅니다. 함께 나눈 기억을 나만의 기억 상자에 담에 한 문장으로 남겨보는 시간입니다.

- 참가비: 일반 1만원, 후원회원 5천원

프로그램 순서:

1. 기억의 의미; 기억하고 기록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2. 남기고 싶은 나의 기억; 준비한 물건과 나의 기억에 대해 이야기 나눕니다.

3. 기억으로 남은 나의 다양한 감정에 대한 이야기합니다.

4. 기억 상자 만들기; 기억 상자에 오래도록 기록될 나의 기억을 담아보고 계속해서 이어나갈 나의 기억 역사를 보관하고 오늘의 기억 문장으로 표현하여 기록해봅니다.

 

 

 

[강연] <정다운 감독과 대화영상에 담는 기억과 미래>

- 일시: 5 29 () 19:30

- 장소: 최순우 옛집

- 참가비: 일반 1만원, 후원회원 5천원

- 강연자: 정다운 감독

사람과 공간, 우리 문화와 자연을 자신만의 시각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대표작: <이타미준의 바다>2019, <위대한 계약: 파주, , 도시>2020, <땅에 쓰는 시>2024)) https://www.instagram.com/girim_geurim/

 

- 프로그램 내용:

사람과 공간, 우리 문화와 자연을 자신만의 시각으로 기록하는 정다운 감독. 제일 한국인 건축가 이타미준의 작품 세계를 담은 <이타미준의 바다>, 2019, 파주 출판도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담은 <위대한 계약: 파주, , 도시>2020를 연출한 정다운 감독이 2024 <땅에 쓰는 시>신작을 소개하고, 인간과 자연과 연결, 지속가능한 방식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신작 <땅에 쓰는 시>는 선유도 공원,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등 수많은 조경, 정원을 꾸민 1세대 조경가 정영선을 사계절로 표현하여 담은 다큐멘터리입니다. 조경가, 사람 정영선이 자연을 대하는 태도와 계절따라 자연스럽게 피고 지는 자연을 미래세대까지 어떻게 이어질 수 있을 지 열린 시각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관객에게 전달하고 싶은 이야기 등을 자유롭게 대화 나누는 프로그램입니다.



[체험] <권진규 아틀리에 스케치 - 권진규의 공간, , 시간>

>>예약클릭<<

- 일시: 5 18() 15:00~16:00, 5 24() 16:00~17:00

- 장소: 권진규 아틀리에

- 참가비: 일반 3,000, 후원회원 무료

- 도슨트: 유정인, 황지민(이화여대 교육대학원)

- 내용: 조각가 권진규가 직접 짓고 작품 활동을 한 아틀리에에서 그의 삶과 작품에 대해 도슨트를 듣고, 아틀리에의 인상을 스케치로 남겨봅니다

 




문의 02-3675-3401~2, ntfund@naver.com
신한은행 100-020-297069 (예금주: 내셔널트러스트문화)
후원금은 매 연말 세액공제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공익성기부금지정단체